노인 학대 유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노인 학대는 다양한 원인들이 겹쳐 매우 복잡하게 발생한다. 유형으로 신체적, 언어적, 정서적, 성적, 재정적, 방임 또는 자기 방임 그리고 유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신체적 학대
물리적인 도구나 힘을 사용해서 노인에게 육체적으로 고통 통증, 손상 장애들을 유발시키는 행위를 가리킨다. 이런 신체적 학대는 눈으로 관찰이 되어 표면적으로 발견하기 쉽다.
학대행위
때린다. 세게 치며 꼬집는다. 물건을 집어 던진다. 위협을 한다. 강하게 누른다. 강하게 흔들거나 난폭하게 다룬다. 신체를 구속하거나 강금한다. 강제로 의자나 침대 등에 묶어둔다. 신경안정제나 불필요한 약물을 과다 투여한다.
대상자에게 나타나는 증상
설명할 수 없는 상처, 부종, 멍듬, 할큄, 고집힘, 물어뜯김, 찢김, 설명과 일치하지 않는 상처. 신체적인 부상이나 외관상 나타나지 않는 상처, 수상한 체중감량, 수상한 행동이나 활동 수준의 변화나 영양상태 부족이나 질병과 관계없는 탈수증상 등등이 보인다.
언어 정서적인 학대
언어 정서적인 학대는 비난, 위협, 협박, 폭언, 모욕등의 비언어적인 행위로 노인에게 정서적으로 고통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신체적인 학대보다 덜하다고 평가하지만, 당사자가 받는 충격이나 정신적인 상처는 신체적 학대보다 결코 덜하다고 할 수는 없다.
학대행위
노인에게 욕설과 폭언을 하며 고함을 지른다. 노인에게 '쓸모없는 늙은이'라는 등 자존감을 상하는 말을 지속적으로 한다. 양로원이나 시설로 보내겠다고 협박을 한다. 신체적인 기능저하로 인한 실수를 비꼬며 욕설과 비난을 한다. 유아처럼 다룬다. 노인만 따로 식사를 하게 만들거나 사용공간이나 생활기구 사용을 제한한다 등등이 해당된다.
대상자에게 나타나는 증상
표정이 없으며 우울, 공포, 분노, 부정, 흥분 등의 공황상태가 보인다. 질문했을 때 대답은 단답형으로 '네', 혹은 '아니요' 답변 외에는 응답을 듣기 힘들다. 주기적으로 무기력하며 말하기를 꺼려하거나 주저한다. 웃은 모습을 찾아볼 수 없으며 대화에 참여하지도 못한다. 가족의 눈치를 살핀다. 또한 가족을 피하려고 하며 집으로 돌아가려고 하지 않는다 등등이 있다.
성적인 학대
성적인 수치심, 성추행 등의 노인의 의사와 반대로 강제적으로 행하는 모든 성적행위를 뜻한다.
학대행위
성적인 관련 언어나 시각적으로 보이는 자료나 성적인 굴욕감을 주는 행위이다. 사례를 들자면 남녀 구별 없이 탈의실이나 화장실을 개방해서 사용하거나, 그런 환경이 해당된다. 또는 노인이 성적수치심을 느끼는 성적인 언어표현이나 행위가 해당된다. 또는 심할 경우 폭행 후 강제적으로 성행위 또는 원치 않는 관계를 말한다.
대상자에게 나타나는 행위
정서적으로 우울하거나 사회관계가 단절되는 경우가 많다. 수면장애가 심하다. 분노 또는 수치심의 정서적인 불안이 지속된다. 속옷이 찢겼거나 걸을 때 이상하거나 어렵다.
재정적인 학대
제 3자가 노인의 자산을 당사자 동의를 구하지 않고, 부당하게 착취하여 이용하는 행위다. 또한 일정한 노동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하지 않는 행위를 말한다.
학대행위
노인의 유언장을 거짓으로 작성하거나 이미 작성해놓은 유언장을 동의 없이 수정한다. 허락 없이 부동산을 사고 판다. 노인의 허락없이 노인의 통장에서 돈을 빌려주거나, 은행에서 노인의 명의로 은행계좌에서 돈을 인출한다. 노인의 허락없이 마음대로 노인 명의의 증서를 변경하거나, 재산을 다른 사람에게 증여한다. 노연의 허락을 받지 않고 은행 계좌를 해약하거나 개설한다. 인감도용이나 노인의 이름을 사용해서 부동산이나 현금을 갈취한다.
대상자에게 나타나는 증상
필요한 물건을 살 수가 없고, 생활에 필요한 돈도 없다. 개인 소지품도 없고, 체납된 공과금 및 세금고지서가 발견되었다. 노인의 서명과 비슷하게 서명된 수표나 서류가 발견된다. 노인의 재산이 어느 날 갑자기 타인 명의로 변경되었다.
방임
노인의 부양 의무자로 책임이나 의무를 지지 않고 의도적으로 또는 비도덕적으로 거부하거나, 불이행하는 행위다. 따라서 노인의 의식주 및 의료적인 해택을 적절하게 책임지지 않는 것을 말한다.
학대행위
아픈데 병원에 데려가지도 않고 약물을 만족하지 않게 제공한다. 식사와 물을 제대로 제공하지 않으며,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장기간 혼자 지내게 한다. 옷 갈아입거나, 기저귀교환이나, 긴 손톱 등의 개인위생을 제공하지 않는다. 노인의 공간만 정리와 청소를 하지 않거나 가출해도 찾지 않는다. 필수 생활비나 생계비를 지원하지 않는다. 노인이 사고를 당할 수 있는 상황인데도 내버려 둔다.
대상자에게 나타나는 증상
악취가 나서 오물, 대소변 냄새, 노인의 주변환경에 있어서 건강이나 안전이 불안해 보인다. 식사를 거르며 영양실조나 탈수 현상이 보인다. 침대나 이불이 오물로 더럽혀져 있고, 기저귀가 교환되지 않았다. 난방이나 수도, 전화, 가스가 단절되었다. 노인 혼자 거리나 주위를 배회한다.
이상 노인 학대 유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