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꽤 오래전에 심폐소생술을 배우러 간 적이 있었답니다. 너무 오래돼서 기억이 좀 가물거리지만 정리해 봤답니다. 뉴스에서 가끔 위기의 환자를 살렸다는 간호사나 의사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런 걸 배워두면 비상시 도움이 되겠죠. 일반인도 배울 수 있으며, 건강한 성인이라면 누구나 가능하답니다.
기억은 좀 가물가물하지만 배울 때 상상하던 것보다 힘이 들었답니다. 실제 심폐소생술을 하고나면 온몸에 땀이 조금 배긴답니다. 약 2분에 걸쳐 시행하는데, 일반인이 1분에 100회 가슴압박을 하기엔 무리가 따릅니다. 건장한 성인 남성도 조금 벅차답니다. 하지만 배우고 나면 무언가가 뿌듯할 겁니다. 저의 경우는 아직 써먹진 못했지만 말입니다.
지금부터 심폐소생술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실전에 들어가기 전에 이론공부도 조금 했답니다. 하지만 미리 겁먹지 마세요. 누구나 다 할 수 있답니다. 방법만 제대로 익힌다면 귀중한 한 생명을 구할 수도 있겠죠.
심폐소생술이란?
심폐소생술은 갑작스런 심장마비, 질식, 혹은 사고로 폐와 심장의 활동이 멈추는 경우 인공적으로 호흡과 혈액순환을 유지함으로써 뇌와 심장의 주요 장기에 산소를 공급하여 생명을 살리는 행위를 말한다. 즉, 다시 이야기하자면 호흡을 하지 않는 환자나 대상자에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폐와 산소를 공급하는 행위를 뜻한다.
심폐기능이 멈춘후 산소는 6분까지는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4~6분간 혈액이 체내에 공급되지 않으면 뇌 손상이 오게 된다.
심폐소생술의 단계
심폐소생술은 시행하는 단계가 있답니다. 대상자 혹은 환자의 상태를 파악한 뒤 심폐소생술이 필요하다고 판단이 되면 시행합니다.
1. 반응을 확인한다.
우선 대상자를 바닥에 반듯이 눕힌다.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의식이 있는지, 괜찮은지 확인한다. 만약 환자가 소리나 신음으로 반응을 한다면 안심시키는 말을 전한다. 환자의 외상 징후가 있거나 의심이 된다면 척추가 손상되었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상자의 몸을 다른 곳으로 움직이거나 흔들어서는 안 된다.
2. 구조요청을 한다.
어깨를 두드렸음에도 반응이 없다면 119에 신고한다. 주변에 사람이 있다면 도움을 요청하고, 만약 없다면 본인이 직접 신고한다. 119 신고시, 환자발견 장소 및 주소, 전화번호, 환자의 상태나 발생상황이나 등을 설명한다.
3. 가슴압박을 시행한다.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이면 가슴압박을 시작한다. 대상자의 몸에 수직이 되도록 가슴 최소 5cm 정도 눌릴 정도의 강도로 압박을 한다. 6cm가 넘지 않도록 한다. 가슴압박 30회가 끝나면 2회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비율은 가슴압박 대 인공호흡 = 30=2로 유지한다. 이때 가슴압박은 분당 100회 이상의 속도로 시행하며 120회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4. 인공호흡을 한다.
대상자의 코를 막고 자신의 숨을 들이쉰 상태에서, 대상자의 입에 자신의 입을 대고 1초 동안 숨을 불어넣는다. 가슴압박 동안 인공호흡이 동시에 시행되지 않도록 한다. 호흡상태를 확인하며 호흡이 있는 경우 넥타이나 벨트, 허리띠, 단추 등 몸을 조이는 것을 다 풀어준다.
만약 인공호흡 후에도 호흡이 없다면, 기도를 유지한 다음 구강대 구강 인공호흡으로 계속한다. 단, 인공호흡이 과도하게 해서는 안된다.
5. 상태체크를 한다.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5회 차 시행 후, 대상자가 의식이 있는지 없는지 상태를 확인한다. 이후 차도가 없다면 의료진이나 119가 올 때까지 반복시행한다.
마지막으로 회복자세가 있는데 먼저 한쪽 팔을 편하게 위로 보게 합니다. 나머지 한쪽 팔을 가슴을 감싸여 반대쪽 어깨로 올립니다. 그리고 다리를 올려 옆으로 돌아 눕게 합니다. 회복자세는 혀나 구토가 막히는 걸 예방하는 것도 있지만 흡인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라고도 합니다.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마음을 잊지 마세요.
마지막으로 심폐소생술의 순서를 정리하자면 반응을 확인 후 도움을 요청하는 게 우선입니다. 이후 반응이 없다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며 기도를 유지하면서 인공호흡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환자의 상태를 체크합니다. 심폐소생술은 전문의나 간호사가 아닌 일반인도 충분히 시행할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하답니다.
오늘은 심폐소생술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